척추센터/척추질환 바로알기

[헬스 & 뷰티]운동중 부상 ‘전방십자인대 파열’ 심각

연세사랑병원 2008. 4. 10. 17:39

 

[헬스 & 뷰티]운동중 부상 ‘전방십자인대 파열’ 심각

 

사진 : 이코노미21
정확한 검진 통해 동반 손상 유무 확인…운동 전 스트레칭 등 근육·관절 풀어야

직장인 김모(28세)군은 따뜻하게 풀린 봄 날씨에 사무실에 가만히 있지를 못하고 동료들과 점심시간을 이용해 농구 한 판을 하기로 했다. 농구를 무척이나 즐기는 그였지만, 오랜만에 해서인지 영 점수를 못 내고 있는 판국이었다. 그러다 같은 팀원의 어시스트를 받아 멋지게 골을 넣고 착지하는 순간, 무릎이 옆으로 꺾이면서 넘어지게 되었다. 무릎이 약간 삐끗한 듯 했으나, 이를 무시한 채 업무를 보다가 무릎이 퉁퉁 부어오르자 그때서야 가까운 병원을 찾았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축구선수 이동국, 농구선수 전주원 등 운동 중 외상에 의한 손상이 거의 대부분이며, 외부 힘에 의해 무릎관절이 뒤틀리거나 그와 동시에 내·외측 또는 전방으로 심하게 꺾이는 경우에 발생한다. 점프 후 착지할 때, 빠른 스피드에서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바꿀 때, 상대방 선수와의 충돌 시에 손상될 수 있다.

축구나 농구, 테니스 등 격한 운동을 할 때에 자주 입는 부상 중 하나며, 스키나 인라인 스케이트와 같은 실외 운동 중에, 혹 교통사고에 의해서도 파열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전방십자인대 파열상이 1년에 약 25만 건이나 발생할 정도로 가장 쉽게 파열되는 대표적인 인대 부상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전방십자인대 가늘어서 가장 쉽게 파열

무릎에는 두 종류의 인대가 있다. 무릎 관절의 좌우 안정성을 지탱해 주는 내·외측 측부인대와 무릎 관절 안쪽에 위치하여 무릎이 앞뒤로 또는 회전 시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전방 및 후방십자인대가 그것이다. 특히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속에서 종아리 뼈가 앞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잡아 주어 무릎 관절을 안정시키는 데 중요한 구조물로 무릎이 꺾이거나 비틀리게 되면 종종 끊어지게 된다.

무릎에 외상이 오게 되면 보통 여러 조직들이 동시에 상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도 전방십자인대는 후방십자인대에 비해 그 굵기가 가늘어 더 쉽게 파열이 되며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손상이다. 하지만 대부분 내측 측부인대와 전방십자인대가 동시에 외상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레저 활동 인구가 점차 증가함과 동시에 운동선수 외 일반인들에게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일반적인 사람들(약 40% 정도)이 무릎 내부에서 인대가 ‘뚝’ 끊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으며 이후 통증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보행이 어려워진다. 이후 2~3시간이 경과되면서 슬관절 내에 출혈이 되면서 무릎이 부어오르게 된다. 붓기가 가라앉은 다음에는 다리가 불안정하고 무력감이 나타나는 등의 증상을 보이게 된다. 또한 무릎의 방향을 바꿀 때 다리가 빠지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도 있다. 만약 다른 인대의 파열이 동반된 경우 통증 및 관절의 불안정도 심하며, 손상 부위에 강한 압통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인대가 부분 파열되었거나 전방십자인대만 단독으로 손상된 경우는 증상이 심하지 않아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도 많으며, 병원에 내원한 경우도 진단되지 않아 그냥 지내다가 지속되는 만성 통증으로 후에 진단되는 경우도 있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 반월상 연골판 손상 → 퇴행성 관절염 順

보통 엑스레이에는 나타나지 않아 MRI 촬영과 의사의 소견으로 인대 손상의 정도를 진단할 수 있다. 또한 관절경을 이용해서도 검사가 가능한데, 무릎 내부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직접 확인하기 때문에 99%이상 확진이 가능한, 매우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 내·외측 측부인대나 반월상 연골 그리고 후방십자인대의 동반손상의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더 정확한 검사를 통해 동반손상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다.

특히, 전방십자인대는 방치했을 경우에 이차적으로 반월상 연골판의 손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퇴행성 관절염으로의 합병률이 높아져 무엇보다 부상 초기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보통 손상 후 무릎 관절이 심하게 붓기 시작하다가, 차츰 붓기가 빠지게 되면 괜찮아졌다 여기고 방치하기 마련인데, 한번 끊어진 십자인대의 경우에는 관절액의 영향으로 다시 붙지 않기 때문에 인대재건술을 통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예방

무릎에 외상을 받지 않도록 매일 매일 운동을 통하여 무릎의 근육을 항상 튼튼하게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어떤 종목의 운동을 하든지 간에, 시작 전에 반드시 스트레칭을 해주어 몸의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특히, 운동을 안 하던 사람이 갑자기 격한 운동을 하거나 무리하게 되면 부상의 위험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2배 정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운동 전, 더욱 철저히 준비를 하도록 하고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운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은 대부분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박찬미 건강전문 라이터 merlin-p@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