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염은 우리나라 인구 7명당 1명꼴로 걸리는 흔한 질환이다. 특히 나이가 들어 생기는 퇴행성 관절염은 물렁뼈 즉, 연골이 닳아 없어지면서 무릎이 아프고 염증이 생기는 가장 흔한 관절질환이다. 대부분의 사람이 ‘나이가 들면 당연히 아픈 것’으로 생각해 참고 지내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수명이 길어지고 좀 더 나은 삶의 질을 찾기 위해 60대 이상의 노인들도 관절염을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추세다.
관절 통증이 환자의 운동성이나 기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오히려 비만이나 당뇨와 같은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가장 중요한 점은 통증으로 인해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린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 하면 연골이 완전히 닳아 없어져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마지막 대안으로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인공관절수술은 무릎을 연 후 나쁜 조직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이다.
과거에는 약 15~20cm 정도로 크게 무릎을 절개한 후 수술을 했기 때문에 출혈이나 감염의 위험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었다. 회복기간도 2개월 정도로 길다. 하지만 최근에는 최소절개술을 이용해 절개부위를 최소화하고 있다. 약 50% 정도 줄어든 8~10㎝만을 절개해 출혈이나 통증, 흉터 및 감염 등의 문제를 개선한 것이다.
최소절개술은 수술 중 출혈량을 기존 수술에 비해 절반 정도로 줄이고 회복 속도도 7배 가량 빠르게 만들었다. 수술 당일 바로 재활운동을 통해 2~3일 이내에 다리의 각도를 120도 이상 구부릴 수 있고 퇴원시점에는 140도 이상도 가능해 좌식 생활이 익숙한 환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
인공관절수술은 주로 엉덩이 즉, 고관절과 무릎관절에서 95% 이상 시행된다. 고관절이나 무릎관절의 경우 관절을 형성하는 뼈의 겉면을 곱게 다듬고 얇은 특수 금속막을 다듬은 관절겉면에 씌우고 그 중간층에 특수 플라스틱을 삽입하여 물렁뼈 역할을 하도록 하여 고관절과 무릎관절이 유연하고, 정상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인공관절 수술은 양측 고관절 또는 무릎관절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으며 수술 시간은 1시간 정도다.
흔히 당뇨병, 심장병 및 고혈압이 있으면 수술을 못한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대부분의 병들에 대해 수술전후로 관리를 하고 마취의 경우 전신마취가 아닌 척추마취를 통해 훨씬 더 안심하고 수술을 받을 수 있다.
인공관절 수술 후에는 통증은 완전히 없어지고 정상인과 똑같이 걷고 생활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 정상인과 전혀 구별할 수 없고, 휘어진 다리가 바르게 교정됨으로써 키가 커지는 효과도 있다. 수술 후 관리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를 요한다.
“늙으면 저절로 생기는 병인데 무슨 치료예요. 좀 지나면 괜찮아지겠죠 뭐.”
병원에 찾아온 관절염 환자 중 상당수가 이러한 생각으로 병을 키워 뒤늦게 큰 수술을 받는다. 그러나 초기에 아주 작은 노력만 하면 그 어떤 질환보다 쉽게 치료가 되는 것이 관절염이다. 관절염이 나이가 들면 자연스레 생기는 병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인식이다. 초기 치료와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이다.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 체중이 증가하면 관절들이 받는 압박은 심해질 수밖에 없다. 체중 60㎏ 이상의 여성이 5㎏을 감량하면 무릎에 가는 통증의 절반을 줄일 수 있다. 또 평소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는 자세를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별 생각없이 책상다리로 앉거나 쪼그려 앉으면 무릎 연골에 무리가 가서 관절이 쉽게 닳는다.
그러나 일단 관절염이 발병하고 나면 초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혼자 무작정 버티지 말고 약물치료, 운동요법, 체중조절과 물리치료 등을 받는 것이 좋다. 관절에 연골재생성분을 투입하는 주사요법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치료법으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절의 추가적인 손상을 늦출 수 있다.
관절이 심하게 훼손돼 다른 치료에 반응이 없고 보행이 힘든 관절염 중기 정도의 상태라면 관절내시경수술을 받아야 한다. 먼저 관절내시경수술은 연골이 어느 정도 남아 있는 관절염 중기 환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하는 수술방법이다.
무릎관절 부위에 1㎝ 미만의 구멍을 내고 카메라가 달린 관절내시경을 삽입, 카메라에 찍힌 관절의 상태를 모니터로 보면서 관절 속의 이물질과 손상된 연골을 정리하는 방법이다. 카메라로 관절의 상태를 보면서 시술하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 특히 CT촬영이나 MRI 같은 특수촬영으로도 파악하지 못하는 병의 진행상태까지 진단해 수술할 수 있다. 관절내시경수술에 걸리는 시간은 보통 20분 내외 정도이며, 2~3일간의 입원으로 회복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후유증과 흔적이 남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최근 관절염에 상태가 좋은 자기 연골을 채취해서 배양한 후 연골이 없어진 부위에 이식하는 자가연골 배양 이식술도 초기 및 중기 관절염 환자에게 아주 좋은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관절염 말기로 연골이 완전히 닳아 없어져 극심한 통증으로 걷는 것마저 두려운 환자에게도 희망은 있다. 바로 인공관절수술이 그것이다.
인공관절수술은 손상된 연골을 잘라내고 인체에 무해한 인공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교체해주는 것을 말한다. 요즘에는 절개부위를 최소화하는 ‘최소절개 인공관절수술’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수술 후 다음날부터 보행연습을 시작해 10일 정도 후 퇴원시에는 혼자서 충분히 보행이 가능하다. 관절염, 이제 그 통증에서 해방되어 밝게 웃는 얼굴로 당당히 걸어보자
출처;http://kr.blog.yahoo.com/kangseo119/1152
'관절내시경센터 > 관절내시경이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내시경 수술의 효과 [관절내시경/관절경] (0) | 2007.07.19 |
---|---|
관절경 수술의 장점 [관절내시경/관절경] (0) | 2007.07.19 |
관절경 수술의 장점은 크게 3가지[관절경/관절내시경] (0) | 2007.07.13 |
관절내시경 수술 절개길이가 작고 치유 및 회복이 빠르다 [관절내시경] (0) | 2007.07.13 |
관절경으로 치료가 가능한 질병?[관절내시경/관절경] (0) | 200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