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내시경센터/관절내시경이란

어깨의 만성통증, 상부관절와순 파열 의심을[관절내시경]

연세사랑병원 2008. 3. 25. 16:51

어깨의 만성통증, 상부관절와순 파열 의심을

 

 

 

[스포츠월드] 장기간 오래되는 어깨통증의 원인으로 어깨 상부관절와순 파열을 종종 보게 되는데, 증상은 야구 투구 동작을 잘 취할 수 없고 옷을 머리 위로 편하게 입고 벗을 수 없다고 주로 호소를 한다. 수술은 주로 관절내시경 수술을 하게 되는데 한쪽에는 관절내시경을 넣어 관절 내부를 관찰하고 나머지 구멍에는 수술도구를 삽입해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어깨관절의 관절와순은 관절을 이루는 어깨뼈의 가장자리를 둑처럼 둘러싸고 있는 섬유질의 연골을 말한다. 특히 위쪽 관절와순은 팔뚝의
이두박건의 긴 건과 연결되어 있고 무릎관절의 반월상연골판과 비슷하게 뼈에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가 쉽다.

상부 관절와순 파열은 위쪽 관절와순이 앞쪽부터 뒤쪽까지 이두박건의 긴 건과 함께 어깨뼈로부터 떨어지는 질환을 말한다. 이 질환은 어깨를 부딪쳐 다치거나 팔을 짚고 넘어질 때, 공을 무리하게 던지거나 팔을 머리 위로 휘두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이두박건의 긴 건의 견인손상 등으로 생길 수 있다. 젊은 나이에 주로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 공을 다루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에게 잘 생긴다. 증상은 어깨통증, 염발음, 빠지는 느낌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상부 관절와순 파열의 진단은 질환 특유의 증상이나 이학적 소견이 없고 어깨관절의 전방불안정성, 어깨힘줄(회전근개)질환 등 다른 질환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어렵다. 대부분 진찰 및 관절조영 MRI를 시행하여 진단을 하게 되며, 관절와순의 손상 정도를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의 위치에 따라 정밀검사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관절내시경 소견으로 확진을 하기도 한다.

상부 관절와순 파열이 확진되었을 경우 대부분 수술적 치료의 성적이 보존적 치료보다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은 주로 관절내시경 수술을 하게 되는데 한쪽에는 관절내시경을 넣어 관절 내부를 관찰하고 나머지 구멍에는 수술도구를 삽입해 수술을 진행하는 방법이다. 절개를 하지 않고 작은 구멍(1.5∼2cm)을 내어 수술하기 때문에 출혈이나 수술 후 흉터가 작고, 가능한 정상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아 통증이 적고 회복기간이 빠르다.

또한 수술 후 관절유착에 의한 관절운동제한 등의 합병증이 적다. 관절내시경은 MRI와 같은 정밀검사에서도 파악하지 못하는 병의 진행 상태를 직접 살펴보며 치료할 수 있어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상부 관절와순의 치료는 병변의 상태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병변의 변연부를 단순히 절제하기도 하고, 파열된 병변을 실이 달린 나사못을 이용하여 원래의 모습으로 봉합해 주기도 한다. 수술 후에는 반드시 재활치료를 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약 3주간 간단한 보조기를 착용하고 등장성 운동과 진자 운동을 할 수 있다. 오래되는 만성 어깨통증이 있을 경우 혹시 상부 관절와순 파열이 아닌지 확인하고 적극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성창훈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