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히 쉬었는데 아직 왜 뻐근하지?
무리한 운동·자세불량 원인
관절내시경·체외충격파 치료
관절내시경·체외충격파 치료
-
어깨가 뻐근할 때에는 따뜻한 물에 목욕하거나 어깨 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한 여성이 김성훈 소장에게 진료상담 받고 있다.
어깨에는 팔을 올리고, 내리고, 돌리는 역할을 하는 4개의 힘줄이 있다. 이중 하나라도 끊어지거나 손상된 상태를 ‘어깨힘줄파열’, 또는 ‘회전근개파열’이라고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무리한 운동 등 부상으로 발생한다.
어깨힘줄이 파열되면 초기에는 팔을 위로 들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완화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통이라고 생각하고 그대로 방치하거나 물리치료를 하면서 시간을 보내 근본적인 치료를 하지 못한 채 병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흔하다.
파열된 회전근개는 봉합을 해야 완치된다. 최근에는 수술 부위를 절개하지 않고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피부에 4∼8㎜ 정도의 구멍만을 뚫고 수술도구를 관절 내에 집어넣어 간편하게 치료가 가능하다. 절개를 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내어 수술하기 때문에 회복이 빠르다.
관절내시경으로 수술하면 절개가 최소화되어 흉터가 적을 뿐만 아니라 입원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치료비 절감과 수술 후 일상생활로 복귀가 빠르다. 수술 후에는 어깨관절이 굳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물리치료와 일정시간 경과 후 어깨힘줄 강화 재활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담이 든 것처럼 뻐근, 근막동통증후군
근막동통증후군은 신경학적 이상이 없음에도 어깨나 뒷목, 등의 근육이 뭉쳐 뻐근하고 쑤시는 증상을 겪는 것이다.
근막동통증후군은 흔히 잘못된 자세로 오랜 시간 유지할 때 유발된다. 근막동통증후군은 질환이라는 인식 없이 단순 근육통으로 여겨 치료받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근막동통증후군은 MRI나 CT 등으로도 발견이 어려워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때문에 통증이 지속된다면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게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비수술적인 치료가 이루어지는데, 증상이 만성화 되었다면 최근 도입된 체외충격파를 이용해 치료할 수 있다. 체외충격파는 몸 밖에서 생체효과적인 충격파를 전달함으로써 조직의 재생을 자극하게 되며 기능 회복과 통증을 없앤다. 일주일 간격으로 3∼5회 정도 시행하며, 시술 시간은 20분 정도다. 입원이 필요 없고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반복하여도 안전하게 시술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스포츠월드 조원익 기자
〈도움말:김성훈 연세사랑병원 어깨·상지관절센터 소장〉
'비수술&체외충격파센터 > 체외충격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된 동작 반복` 골퍼 어깨 상한다 - 어깨,어깨통증,관절,체외충격파 (0) | 2009.05.26 |
---|---|
어깨 통증 치료 차일피일 … 고질병 지름길 - 어깨,어깨통증,체외충격파 (0) | 2009.05.25 |
당신의 어깨는 안녕하십니까? - 어깨,체외충격파,어깨상지관절센터,관절 (0) | 2009.05.19 |
무리한 어깨사용 회전근개염증 위험 - 체외충격파, 관절내시경 (0) | 2009.05.18 |
체외충격파/족저근막염 - 잘 낫지 않는 족저근막염, 체외충격파로 해결 (0) | 2009.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