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부센터/족저근막염

족저근막염 위험군

연세사랑병원 2014. 4. 30. 17:15

 

 

족저근막염 위험군

 

 

 

 

성인의 발바닥 통증 원인 중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족저근막염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 번 발병하면 발을 디딜 때 통증이 느껴져 상당한 불편함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족저근막염이 특히 더 잘 발병되는 유형이 있다고 합니다. 

아래의 내용에서 족저근막염 위험군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족저근막염 위험군 *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은 젊은 사람들보다 40대 이상의 중년 환자들에게 더 잘 발병됩니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생기는 발 질환인 만큼, 세월이 흐른 뒤 발병하는 것입니다. 

 

또한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족저근막염의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무거운 체중을 감당해야 하는 만큼 발바닥에 아무래도 더 큰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평발인 경우에도 족저근막염이 발병할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평발이거나 혹은 발바닥이 움푹하게 들어가 있는 상태도 족저근막염의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 족저근막염 치료법 *

 

그렇다면 족저근막염을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그나마 다행인 것은 족저근막염 보존적인 치료로 어느 정도의 완화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발의 휴식, 발에 편한 신발 착용, 보조기 착용, 발 스트레칭 등의 방법을 통해 

발바닥 근육을 유연하게 하고 통증을 완화시켜줄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무엇보다 예방과 시기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 발 질환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의 발이 보내는 통증 등에 늘 귀기울여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