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반월상 연골판 파열 대표적인 관절내시경 수술의 대상. 반월상 연골판 열상부의 절제술은 가능한 반월상 연골판의 문제가 되는 부위를 적게 절제하고 그 모양을 재성형하여 반월상 연골판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절 안쪽의 연골판 부위는 관절을 절개해서 개방하여 수술을 하더라도 용이하지 않고 절제가 어려워서 관절내시경을 통한 절제술이 가장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열상부가 관절막과 근접해 있는 경우는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2) 십자인대 파열 스포츠 활동의 증가로 최근 무릎의 십자인대 파열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십자인대는 그 해부학적 위치 및 특성으로 인하여 봉합으로 치료가 잘 되지 않는데, 이러한 경우 관절내시경을 통해서 자신의 힘줄 혹은 동종 힘줄 등으로 인대를 다시 만들어 준다.
(3) 관절염 연골의 마모 및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활액막의 비후, 염증 소견을 보일 때 관절내시경을 통해 치료한다. 찢어지고 떨어져 나와서 연골 밑의 뼈가 들어나 있는 부위의 변연절제나 재생 촉진을 위한 조작, 염증의 세척, 비후된 활액막과 자라나온 뼈의 절제 등을 관절내시경 치료를 통해 통증을 경감시키고, 기능을 보존하는데 치료의 목적이 있다.
(4) 기타 화농성 관절염의 경우, 관절경을 통해 염증을 세척해내고 감염된 조직을 절제한다. 또한 관절 내를 깨끗하게 만들어 주고 농을 배출하게 한다. 무릎뼈의 연골 연화증, 추벽증후군의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으로 두껍고 연골에 자극을 주는 추벽을 절제한다. 그 밖에 관절염이나 박리성 골연골염, 외상 등으로 인한 연골의 손상과 같은 연골의 문제, 골절 등 다양한 범위에서 관절내시경 수술은 적용되며, 그 밖에 다른 수술에 적용하거나 다른 관절에 관절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계속 관절내시경 수술은 발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