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이란?
오십견이란 보통 40대 이후의 중년기에 증상이 나타나며 50대에 장생기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오십견 또는 특발성 동결견이라고 하며 인구의 2%에서 5%정도는 일생 중 한 번은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동결견은 어깨가 점차 매우 아프면서 굳어지게 되는데 어깨 운동이 점차 감소되어 때로는 완전히 굳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여성에서 더 많이 생기고 (약 60%) 당뇨병이 있는 사람에서는 5배 정도 더 흔하게 올 수 있다고 한다. 동결견이 있는 사람의 약 15%에서는 양쪽 어깨관절에 생길 수 있으며 증상이 평균 약 30개월 정도 지속되었다고 한다.
오십견의 원인은?
어깨관절의 통증과 운동 범위에 제한이 오는데도 특별한 병적 부위를 알 수 없는 병변으로서 견관절 주위염 중의 하나다. 병리적으로 관절낭의 구축 및 유착이 주 병변이므로 의학적인 용어로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부른다. 어깨관절은 우리 몸에서 관절 운동이 가장 큰 부분이며 이러한 큰 관절 운동 때문에 평상시 손을 자유스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관절 운동이 크고 주위에 구조가 복잡하여 어깨에는 여러가지 질환이 발생하기가 쉽다.
작은 손상, 스트레스의 어떤 형태, 장기간 질병으로 인한 오랫동안 침대생활등과도 관계가 될 수 있다.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몇가지 기전들로 설명하고 있다. 호르몬의 변화, 유전적 문제, 자가면역기전, 자세, 교원섬유-혈관기전, 상견갑신경 압박 이두근 장두건 활액막염, 반응성 교감성이영양증, 섬유종등이 그것이다.
오십견의 증상은?
오십견에 걸릴 경우에 밤에 잠잘 때 통증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아픈 쪽으로 누우면 극심한 통증이 온다. 어깨 앞쪽에도 극심한 통증이 올 수 있으며 조그만 움직임에도 통증을 느낀다. 뒷주머니에 손을 넣을 때나 머리를 빗을 때, 코트를 벗을 때, 브라자 뒤로 올릴 때 등에도 운동제한이나 통증이 올 수 있다.
오십견의 진단은?
오십견의 진단은 주로 과거력 - 즉 환자가 과거에 오십견에 걸린 적이 있느냐와 이학적 검사에 의해 주로 이루어진다. 동결견과 회전근개 파열의 감별진단하는 데는 어깨를 어떻게 움직일 수 있는가가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동결견에서는 환자 자신이 의사가 아픈 팔을 움직여 볼 때 모두 운동 범위가 차이가 없으나, 회전근개 파열인 경우는 환자 자신은 아픈 팔을 움직일 수 없으니 누군가가 도와주면 거의 정상 범위 정도로 팔을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오십견의 치료는?
어깨의 통증은 일반적으로 그 원인과 통증을 유발하는 인자를 찾아서 치료해야 한다. 그러나 오십견은 대개 아무런 치료가 없어도 1년 혹은 2년 사이에 자연 치유된다. 그외에는 약물 요법이나 물리 치료, 운동 요법과 같은 일반적인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어깨&상지관절센터 > 오십견 엘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십견/스트레칭/관절염/동결견]오십견 스트레칭으로 풀어라 (0) | 2009.05.07 |
---|---|
젊은 사람들도 오십견에 걸려?[오십견] (0) | 2008.11.05 |
‘유사 오십견’ 얼마나 아십니까?[오십견/어깨통증] (0) | 2008.06.02 |
갑작스런 운동, 어깨힘줄 파열 조심 (0) | 2008.05.15 |
갑작스런 운동, 어깨힘줄 파열 조심[어깨힘줄/오십견/관절내시경] (0) | 2008.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