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60세 이후에 발생하는데, 60세 이후 노년층 여자의 25%, 남자의 15%에서 발생하며 55세에서 65세 사이의 연령층에서는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방사선 검사 시행시 85% 정도에서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이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원발성 관절염은 여자에서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비만증이 있는 경우 슬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이 정상에서 보다 2배 정도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한국인에서는 고관절 관절염은 매우 드물고, 척추와 무릎 관절에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생활 습관, 즉 쪼그리거나 무릎 꿇고 앉아 일을 하는 여자의 경우 발생 빈도가 더 높다. 또한 내반슬, 즉 ‘O’형의 다리를 가진 사람은 무릎 관절 안쪽에 계속되는 체중의 과부하로 골관절염이 발생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동통, 관절 운동의 제한 등이 서서히 진행되고, 관절 사용으로 동통이 악화되며 휴식이나 온열 요법으로 증상이 사라지기도 한다. 경도의 종창 및 관절 부위에 압통이 있을 수 있고 운동시 마찰음이 들리거나 관절 내 유리체가 있는 경우는 관절 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지 및 무릎 관절에 골성 비대가 나타나기도 한다. 병변이 계속 진행되어 말기에는 심한 운동 장애나 장해를 남기기도 하고 관절 연골의 소실,불규칙한 변성으로 관절의 변형이 생길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진단은 환자의 병력 및 이학적 소견과 단순 방사선 소견으로 비교적 쉽게 가능하나 류머티스 관절염,결핵성 관절염과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출처;http://www.smc.or.kr/health/13/h013-02.htm
'어깨&상지관절센터 > 퇴행성관절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염의 예방[관절염/퇴행성관절염] (0) | 2007.07.19 |
---|---|
관절염, 운동 없인 백약이 무효 [관절염/퇴행성관절염] (0) | 2007.07.19 |
숨은 무릎질환 관절내시경으로 고친다. [관절내시경] (0) | 2007.06.28 |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 대하여 알아보자 [인공관절] (0) | 2007.06.28 |
골관절염 관리 운동 어떻게 하나? [관절염/퇴행성관절염] (0) | 200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