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이라고 들어본 적이 있나요? 척수는 뇌 하부에서 척추의 관을 통해 등쪽까지 내려가게 되는 신경이고, 사지와 몸을 움직이게 하고 감각을 느끼게 하는 신경을 바로 말초신경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우리의 몸은 다양한 신경들로 하여금 움직일 수 있고 감각을 느낄 수가 있는데요.
우리 몸을 움직이는 지배신경 중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상완신경총’입니다. 이름조차 생소한 부위지만, 오토바이 사고로 인해 많이 손상되는 신경이기도 하는데요. 손끝저림을 유발하는 상완신경총 손상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완신경총 손상이란?
상완신경총이란 다섯 번째 경추신경에서 첫 번째 흉추신경까지 5개의 척추신경이 어깨관절부에 이르기까지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 어깨에서부터 손에 이르는 신경구조를 말합니다. 어깨와 팔, 손으로 가는 모든 신경이 상완신경총으로부터 분지되어 내려 가므로 이 부위의 손상은 상지 전체의 운동 능력이나 감각 및 자율신경 기능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손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상완신경총 손상 증상
손상된 신경에 따라 해당 근육의 마비와 감각 기능의 소실이 나타나게 되는데요. 상박형은 어깨와 주관절 근육이 마비되고 손목이나 손가락 기능은 가능합니다. 하박형은 어깨와 주관절 기능은 정상이나 손끝저림과 손목이나 손가락 기능이 마비되며, 전마비는 어깨부터 손가락까지 모두 마비되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마비 신경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상완신경총 손상 원인
상완신경총은 손상 원인은 보통 성인과 태아로 큰 틀로 나누게 되며, 성인의 경우 교통사고, 특히 오토바이 사고나 산재사고, 종양 등에 의해 상완신경총 손상을 받게 됩니다. 태아는 분만마비로 분만 도중에 상완신경총이 손상되는데요. 주로 출산 시 아이가 거꾸로 나오거나 체중이 4Kg 이상인 경우 분만 도중 아기의 어깨나 팔을 너무 세게 잡아당기거나 목을 한쪽으로 세게 구부리고 잡아당길 때 상완신경총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완신경총 손상 치료
상완신경총 손상은 해부학적 구조가 복잡하고 손상부위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어려워 때를 놓칠 경우 어깨부터 손끝까지 아예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등 심각한 기능장애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완신경총 손상 때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치료의 방향을 정하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 상완신경총 손상 부위가 안정되는 3주간의 기간이 지나면 적극적인 재활치료를 먼저 시행하게 됩니다. 관절운동이나 근육에 대한 전기 자극 치료 등을 시행해 볼 수 있는데요. 일정한 기간 동안 물리치료와 검사를 하면서 수술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수술이 필요한 경우는 손상 후 3~6개월이 적절한 시기이며 손상 후 1년이 경과할 경우에는 근육이 섬유화가 진행되어 수술을 시행해도 결과가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완신경총 손상 수술
신경 봉합술, 신경 박리술, 신경 이식술, 신경 이전술 등이 있습니다. 신경 봉합술은 손상된 신경을 현미경을 이용해 봉합하는 수술법입니다. 신경 박리술은 상완신경총이 눌리거나 주위 조직이 섬유화되어 있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경 이식술은 신경 손상 부위가 커서 봉합이 어려운 경우, 발에 있는 복재신경 등을 이용해 신경 재건을 할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충돌증후군, 팔을 들어올릴 때 통증 있다면? (0) | 2020.07.27 |
---|---|
골반틀어짐 교정병원, 골반틀어짐 증상 및 자가진단 (0) | 2020.07.22 |
척추종양, 다른 허리통증질환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선? (0) | 2020.07.13 |
무릎뒤쪽통증, 베이커낭종 의심해야 하는 이유는? (0) | 2020.07.06 |
쉽게 뼈가 부러지는 골형성부전증이란?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