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은 54개의 뼈와 신경, 힘줄, 혈관 등 다양한 구조물이 모여 움직입니다. 정교하고 세밀한 작업부터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업무까지 하루 24시간 사용돼 작은 손상에도 큰 불편을 초래하는데, 다소 생소한 이름 탓에 간과하는 손가락질환이 있습니다.
바로 방아쇠수지증후군입니다. 들어도 생소하고 관심이 없으면 인지조차 할 수 없는 질환이나 엄지손가락통증과 함께 관절강직을 유발하는 질환. 과연 무엇일까요? 아래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손가락을 굽히고 피는 힘줄이 통로와 마찰되면 통증이 발생한다.
엄지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은 손목을 지나 손가락 끝까지 터널 같은 구조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막은 군데군데 인대로 두꺼워진 부위가 있는데, 이를 활차(손가락을 구부릴 때 힘줄이 들뜨지 않도록 담당) 라고 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을 굽히는데 사용되는 힘줄에 염증이 생긴 질환으로, 힘줄이 부어 올라 활차에 걸리기 때문에 손가락을 구부리려 하면 잘 구부려지지 않고 딸깍 하는 소리와 함께 통증이 발생합니다. 주로 엄지손가락에 발생하나 경우에 따라 약지나 중지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은 손가락 사용량이 많을수록 발병률도 높아진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다만 50대 이상은 노화로 인해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가 딱딱해지고 굳어져 마찰이 커지는 것을 원인으로 꼽으며, 젊은 연령대라면 골프나 테니스 등의 운동, 미용사, 요리사, 악기연주자 등 손가락과 손바닥에 많은 힘을 주는 경우 발생한다고 보고됩니다.
다만, 그 외에도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당뇨병 등도 원인으로 지목되기 때문에 나이와 상관없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원인이 분명치 않은 질환이라 봐야 합니다.
엄지손가락통증과 함께 뚝 하는 소리가 있다면 의심해봐야 한다.
손가락 끝에서 두 번째 마디가 다 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고, 억지로 굽히거나 피면 딸깍 하는 소리가 발생합니다. 또 손가락을 움직이고 난 후에는 시큰거리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활차가 두꺼워지면서 힘줄이 지나는 통로가 좁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힘줄이 마치 실타래처럼 굵어져 육안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호전되기도 하지만, 방치할 경우 손가락 관절강직과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이상증상 발생 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 초기라면 스테로이드 치료로 증상 회복이 가능하다.
힘줄과 통로 사이의 염증을 줄이는 것이 치료 목적이기 때문에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진행합니다. 특히 스테로이드 약물을 통로 부위에 주입할 경우 염증을 줄여 힘줄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만들어줍니다. 움직임이 많다면 부목을 대 고정하고 충분한 휴식을 병행합니다.
다만, 여러 개의 손가락이 아프거나 통증이 재발된 경우, 관절강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좁아진 통로를 넓혀야 합니다.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비교적 간단히 진행되나, 수술법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의료진 진단이 필요합니다.
손가락에도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손가락과 손바닥의 과도한 사용이 발병률을 높인다고 보고되기 때문에 가능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손가락으로 물체를 꽉 잡는 활동은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골프나 테니스, 야구 등의 운동을 할 땐 운동 전후로 손가락에도 충분한 스트레칭이 필요합니다. 한 시간 정도 사용했다면 반드시 5분 정도는 휴식을 취하고, 손을 가볍게 털어주거나 마사지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또 일주일에 2~3회 따뜻한 미온수에 손을 담그는 것도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 피로를 푸는데 도움됩니다.
방아쇠수지증후군은 다소 생소한 이름이지만 발병률은 높아지는 손가락 질환입니다. 특히 현대사회에선 손가락 휴식은 인식이 낮기 때문에 하루 5분이라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이상증상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대처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움직이면 허리통증 나타나는 척추분리증이란? (0) | 2021.03.04 |
---|---|
삔발목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질환으로 발전 가능성 높다! (0) | 2021.03.03 |
십자인대파열증상부터 원인 치료법까지! (0) | 2021.02.23 |
허리디스크 증세로 아플 때! 빠르게 치료와 운동 병행 (0) | 2021.02.22 |
어깨충돌증후군 빠른 치료와 운동을 통해 회복 가능하다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