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에 나타나는 증상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 중에서 강직성척추염은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아침에 허리가 뻣뻣하고 통증이 유발되고 이러한 증상이 지속적으로 이어진다면 단순한 허리 질환이 아닌 강직성척추염의 증상은 아닌 지 확인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강직성척추염은 이름 그대로 허리가 뻣뻣해지는 강직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이 외에도 다양한 신체에 이상 증상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에는 더 큰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척추가 대나무처럼 굳는 질환, 강직성척추염이란?
강직성척추염이란, 척추가 대나무처럼 굳는 것이 특징인 질환으로 척추에 나타나는 만성 관절염에 해당합니다. 척추에 나타나는 염증으로 인해 허리가 강직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질환은 척추 전반에 관절염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며, 증상을 오래 방치할 경우에는 척추를 움직일 수 없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강직성척추염은 10대부터 40대까지의 연령층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그 중에서도 여성보다 남성에게 많이 확인됩니다.
강직성척추염의 주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검사 시 강직성척추염 환자에게 항원(HLA-B27)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항원이 강직성척추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유전적 인자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발병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음주, 습관 스트레스 등의 생활습관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허리가 뻣뻣해지는 강직현상과 허리 통증이 특징이다.
▶ 아침에 허리가 뻣뻣한 강직 증상이 나타난다.
▶ 우울감, 피로감, 미열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 전신에 걸쳐 관절염, 관절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 눈, 심장, 신장, 대장 등의 장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증상을 오래 방치할수록 허리가 굳고 허리 운동에 제한이 생긴다.
강직성척추염은 척추 관절에 염증을 일으키는 관절염에 해당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아침에 나타나는 강직 증상을 들 수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날 경우 허리가 뻣뻣한 느낌이 드는 것이 특징이며 허리에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뻣뻣한 증상은 곧 풀리게 되지만 이러한 강직 현상이 꾸준히 반복되게 됩니다.
허리에만 통증이 국한되는 것이 아닌 엉덩이 관절, 어깨 관절, 온 몸의 관절 등이 아픈 경우가 있고 발 뒤꿈치, 갈비뼈 등과 같은 곳에도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증상을 장기간 방치할 경우에는 허리 전반이 뻣뻣하게 굳는 증상이 나타나 허리의 움직임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됩니다.
피로감, 우울감 등을 동반할 수 있고 눈에 염증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신장과 대장, 심장 등의 장기에도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질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약물치료를 병행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을 고려한다.
현재 강직성척추염을 완치하는 치료법은 없습니다. 그러나 강직 증상을 완화하고 피로를 감소하고 일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꾸준히 관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강직성척추염은 진단이 매우 중요한 질환이며 진단을 빨리 하여 치료를 일찍 시작할수록 예후가 좋은 편에 속합니다.
강직성척추염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입니다. 운동 치료는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고 척추 관절의 유연성에 매우 도움이 되는 운동입니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척추가 굳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운동치료와 더불어 약물치료도 병행하게 됩니다. 척추의 염증을 완화하는 약물치료와 통증을 완화하는 소염진통제 등을 처방하게 되며 약물치료 또한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조절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시에는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척추의 염증이 심하고 척추뒤굽음증, 척추의 강직이 심한 경우에는 고관절 및 척추관절 수술을 시행하게 됩니다. 딱딱하게 굳은 척추를 절제하고 굽어진 척추를 교정하여 금속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척추와 고관절에 해당하는 수술의 경우 매우 까다로운 술기가 필요하므로 경험이 많은 전문의를 통해 수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방치할수록 다른 질환이 동반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강직성척추염은 증상을 방치할수록 척추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신체 곳곳에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눈에 염증이 생기는 포도막염이 이에 해당하며, 염증성 장염, 건성, 신장 및 심장 질환, 대동맥 염증도 동반되는 일이 있습니다. 또한 척추 강직으로 인해 폐 기능 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증상 초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직성척추염은 허리에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한 번 발병하면 꾸준히 관리를 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증상을 방치할수록 허리가 강직되며 다양한 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저절로 회복되거나 나아지는 질환이 아니기 때문에 의심 증상이 있을 시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꿈치 통증 치료, 엘보 질환 원인 및 치료법은? (5) | 2025.06.23 |
---|---|
허리 아래 통증 원인과 관련 질환 그리고 대처법은? (3) | 2025.06.18 |
팔꿈치 뒤쪽 통증 일으키는 골프엘보 치료 방법은? (7) | 2025.06.16 |
손가락 저림 증상, 일상에서 자주 일어난다면? (1) | 2025.06.11 |
무릎 연골파열, 연령을 불문하고 나타날 수 있는 질환! (4) | 202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