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특별한 문제가 없다고 진단 받았음에도 허리나 엉덩이 통증, 다리 감각이상 등으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통증 시 많은 분들이 허리디스크 혹은 요통을 떠올리는데, 한번쯤은 이 질환도 의심해봐야 합니다.
바로 좌골신경통입니다. 날카로운 통증과 함께 감각이상까지 초래하는 신경성 질환. 근골격계 질환과 구분해야 할 좌골신경통은 과연 무엇일까요? 아래 본문에서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앉는다는 것은 삶에 큰 동작이므로, 신경도 크고 굵을 수밖에 없다.
좌골은 골반을 구성하는 뼈로, 의자나 바닥에 앉을 때 닿는 부위를 의미합니다. 좌골 사이의 구멍을 통해 나와 허리부터 골반, 허벅지와 종아리를 지나 발까지 이어져 대부분의 감각을 책임지기 때문에 신경에 염증이 생기면 극심한 통증과 저림 등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가리켜 좌골신경통이라 합니다. 좌골신경이 지나가는 자리를 따라 다양한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우리 몸에서 가장 굵고 긴 신경에 해당되므로 초기에 대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좌골신경이 압박돼 발생하는 통증과 요통을 구분해야 한다.
좌골신경이 압박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같은 자세로 장시간 근무하는 직업이나, 학업으로 오랜 시간 앉아있는 학생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허리와 엉덩이 주변 통증이 발생해 초기에는 요통과 혼동하는데, 요통은 허리에 국한된 통증이 발생하는 반면 좌골신경통은 허리뿐 아니라 엉덩이와 다리까지 뻗치는 통증이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이 필요합니다.
허리와 엉덩이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을 주의해야 한다.
좌골신경통으로 인한 통증으로 주로 날카로운 양상으로 나타납니다. 전기가 오듯 찌릿찌릿 하다, 번개가 치는 것 같다 등으로 증상을 표현하며, 통증은 악화됐다가 호전되기를 반복하기도 합니다.
오래 서 있거나 걷기가 불편하고, 장기간 방치할 경우 발과 발가락까지 통증이 발생해 정상적인 보행에 어려움이 생깁니다. 간혹 허리디스크로 인해 좌골신경에 통증이 생기기도 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좌골신경통은 증상단계에 따라 치료법을 고려해야 한다.
좌골신경통 치료 시에는 진통소염제를 복용하는 약물치료나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을 진행합니다.
다만 신경압박이 심하거나 통증이 극심하고, 감각운동장애가 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치료 시 탈출된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신경뿌리의 협착을 풀어야 하므로 여러 의료진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엉덩이통증이 있다면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좌골신경통 예방과 재발방지를 위해선 생활습관 개선이 동반돼야 합니다. 평소 자세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한 시간에 5분 정도는 틈틈이 일어나 허리를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사지나 찜질 등을 통해 경직된 허리를 풀어주고, 걷기나 실내자전거, 수영 등을 통해 하체 근력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 몸의 신경 가지는 여러 갈래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정확한 치료를 위해선 정확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이상증상이 있다면 빠르게 병원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리협착증증상 허리디스크와 혼동하면 안돼요! 증상의 차이는? (0) | 2021.07.21 |
---|---|
요통은 모두 디스크일까? 후관절증후군도 의심해 봐야 (0) | 2021.07.20 |
복숭아뼈점액낭염, 복숭아뼈에 물혹이 생겨 발목통증이 나타나는 질환 (0) | 2021.07.14 |
어깨가 굳고 통증을 유발하는 오십견, 증상과 예방법은? (0) | 2021.07.13 |
발바닥이 아픈 이유, 족저근막염이 원인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