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새끼 손가락 저림, 팔꿈치터널증후군 증상일 수 있어요!

연세사랑병원 2025. 3. 26. 09:00

 

 

손가락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저리고 아프기 시작하면 손에서 원인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손에 문제가 생겨 증상을 유발하는 일도 적지 않은데요. 하지만 손에서도 특정 원인을 찾을 수 없다면 팔꿈치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새끼손가락 저림 및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손과 팔은 여러 신경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손에서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무조건 손에 원인이 있는 경우는 아닙니다. 오늘은 새끼손가락 저림을 유발하는 질환, 팔꿈치터널증후군 증상과 치료 방법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새끼손가락이 저리고 아파요. 팔꿈치터널증후군이란?

 

 

사람의 신체 중에서 팔뚝은 척골과 요골의 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두개의 뼈는 길이가 다른데, 이 중에서 긴 뼈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척골입니다. 척골은 주로 4, 5번째 손가락 신경과 연결되어 있는데요. 팔꿈치터널증후군이란, 이러한 척골이 지속적인 자극과 움직임으로 인하여 척골신경이 자극되어서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 척골신경압박증후군, 척골증후군 등 명칭이 다양한 이 질환은 팔꿈치터널증후군과 함께 자주 발병하는 대표적인 터널증후군에 해당합니다. 손목과 팔목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라면 더욱 주의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약지와 소지를 중심으로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 4, 5번째 손가락 부위에 저림 증상이 나타난다.
- 손에 힘이 빠지면서 물건을 자주 떨어트린다.
- 팔꿈치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 손가락 근육이 마르고 갈퀴 모양처럼 변형된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의 대표 증상으로는 4, 5번째 손가락에 나타나는 통증과 저림 증상입니다. 이러한 증상은 척골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나타납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에 관여하는 척골신경의 범위가 4번째 5번째 손가락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손가락에 불편감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팔꿈치 내측을 중심으로 통증이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손가락을 따라 근육 위축 증상이 나타나므로 손에 일시적으로 살이 빠진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손가락을 굽히기 어렵거나 갈퀴 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증상이 유발됩니다. 손이 저리고 아프기 때문에 손 사용에 제한이 발생하며 손의 힘이 떨어져 물건을 떨어트리거나 잡는 등의 활동이 어렵게 됩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손목과 팔을 자주 사용하는 분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주부, 요리직, 사무직, 목수, 미용사 등의 직업군에게 나타나며, 평소 팔꿈치를 많이 구부리는 생활습관을 가지거나 PC및 책상 사용의 비율이 높은 분들에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활습관만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므로 일상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알맞은 치료 방법을 선택한다.

 

 

문진과 신체검진을 통해 진단합니다. 손가락에 통증이 나타나는 위치, 범위를 확인하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의 통증 유무 등을 확인하게 됩니다. 팔꿈치 과굴곡 검사를 비롯한 신경전도검사, 근전도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X-ray, CT, MRI등의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팔꿈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의 경우에는 적절한 휴식과 생활습관의 교정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특정한 약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휴식과 팔에 부담을 덜 수 있는 생활습관을 꾸준히 한다면 증상 대부분은 호전됩니다.

 

 

 

그러나 휴식으로도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추가적으로 부목 고정을 함께 시행하기도 합니다.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증상이 만성화 되거나 재발이 잦은 경우, 통증의 정도가 심하고 근육 위축 등의 증상이 있을 시에는 수술적 방법을 고려합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의 수술 방법은 감압술, 내상과 절제술, 척골신경전위술 등 방법이 다양하며, 환자에게 알맞은 방식을 선택하여 진행합니다.  

 

생활습관 교정 및 예방도 꾸준히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치료와 함께 예방에 대한 관리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손목과 손의 사용을 줄이는 것입니다. 팔꿈치와 손이 꺾이는 자세는 팔꿈치증후군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자세에 해당합니다. 손과 팔의 사용 시 중간중간 손목을 가볍게 펴거나 구부리는 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손목 보호대의 착용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팔에 부담이 가는 스포츠 및 운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새끼손가락 통증 팔꿈치터널증후군 증상과 치료법에 관해 말씀드렸습니다. 흔히 손에 나타나는 증상들은 손에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팔에 원인이 있어 증상이 나타나는 일도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예후가 좋을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도 손과 팔의 부담을 주지 않는 생활습관을 지속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