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족저근막염 치료 발바닥 찢어지는 통증

연세사랑병원 2024. 6. 12. 09:00

 

여름 내내 누적된 활동, 슬리퍼나 샌들의 착용 등으로 인해서 발의 피로도가 무엇보다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족저근막염 환자 수는 2022년 기준으로 27만명 이상으로 지금까지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활동량이 많아지는 여름을 기준으로 가을까지는 족저근막염 증상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발바닥 통증과 발을 내디뎠을 때 찢어지는 듯한 느낌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오늘 연세사랑병원에서는 족저근막염의 증상과 치료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무리한 활동과 누적된 피로는 족저근막염의 주원인

 

족저근막이란, 발뒤꿈치부터 발바닥의 발가락까지 이어진 두꺼운 섬유띠에 해당하는 근막을 가리키는 명칭입니다. 이는 발의 아치를 유지하고 체중 부하의 상태에서 발을 올리거나 움직이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은 발에서 나타나는 질환 중에서 발병률이 높은 질환으로 여성이 남성과 비교하면 2배 정도 잘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과도한 스포츠 활동과 운동을 지속한 경우, 굽이 높거나 밑창이 딱딱한 신발을 장기간 신었을 경우. 아치가 낮은 평발과 과체중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잘못된 신발의 착용 경우 족저근막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침 첫발 내디딜 때 발바닥 찢어지는 듯한 통증이 특징

 

족저근막염 증상은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발에 나타나는 통증이 있습니다. 특성상 발뒤꿈치 내측부터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이 심해지면서 발바닥 중앙부로 통증이 번지는 경향을 띱니다. 걷거나 움직일 때 과도한 활동을 한 후 발바닥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른 질환과 구분되는 질환으로는 아침에 나타나 첫발을 내디뎠을 때 나타나는 발바닥 통증이 있습니다. 이는 수면 시 오랜 시간 사용하지 않다가 발을 내디뎠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발에 찌릿한 통증이나 찢어지는 느낌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은 사라지지만 이러한 증상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걷거나 움직일 때도 발바닥이 찢어지는 느낌이 들거나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삶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상적인 증상을 확인하여 진단한다.

 

족저근막염의 진단은 주로 임상적인 증상을 확인한 후 이학적 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바닥 내측에 나타나는 통증과 압통, 환자의 병력 등을 고려합니다. 평발과 요족의 여부도 진단에 있어 도움이 됩니다. 간혹 다른 질환과 감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X-ray나 초음파 촬영을 병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고가의 까다로운 진단 방법을 시행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족저근막염치료, 연세사랑병원 고주파 신경성형술

 

염증이 심하지 않은 초기, 근막이 완전히 손상된 경우가 아닐 시에는 보존적 방법을 통해 치료를 시행합니다. 발을 움직이기 전 스트레칭을 미리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편한 신발 착용을 신는 것만으로도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와 주사치료 등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위와 같은 방법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재발이 잦은 만성 족저근막염의 경우에는 다른 족저근막염 치료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연세사랑병원에는고주파 신경성형술을 이용하여 족저근막염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증 부위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보내 통증의 전달 과정을 변화시켜 감각을 무디게 하여 치료하는 방법으로 1mm 정도의 주삿바늘을 연결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피부 절개를 하지 않고 진행하며, 10분 정도의 치료로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환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중증도 이상의 만성화 환자들에게 호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적절한 신발의 착용과 휴식의 병행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적절한 신발의 착용이 도움이 됩니다. 너무 꽉 끼는 신발의 착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으며 뒷굽이 낮거나 밑창이 딱딱한 신발, 굽이 높은 하이힐과 같은 신발도 경계하는 것이 좋습니다. 넉넉한 크기의 굽이 도움이 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푹신한 신발의 착용이 도움이 됩니다. 발에 자극을 주는 활동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활동 후 반드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사지나 족욕도 도움이 됩니다.

 

족저근막염은 조기에 잘 대처한다면 만성화를 막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증상을 방치하지 말고 알맞게 대처하는 것이 도움이 되며, 재발이 잦거나 만성화의 우려가 이는 경우에는 고주파를 이용한 신경성형술을 통해 통증 조절 및 족저근막염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